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타

home 알림마당 기관별 공지사항 기타

[보도자료] 180일 사용가능 연속혈당측정기용 성능 우수한 포도당 검출시약 개발

[보도자료] 180일 사용가능 연속혈당측정기용 성능 우수한 포도당 검출시약 개발 : 작성자, 카테고리, 등록일, 조회수, 출처,원문링크,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카테고리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등록일 2022-04-19 조회수 1,402
출처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원문링크 https://www.kmedihub.re.kr/index.do?menu_link=/icms/bbs/selectBoardArticle.do

180일 사용가능 연속혈당측정기용
성능 우수한 포도당 검출시약 개발

 

- 제작단가까지 낮춰 세계 당뇨병 시장 진출 기대 -

 
□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양진영)은 기존 연속혈당측정 시스템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포도당 검출 시약을 개발하였다.
  ○ 1형 당뇨환자들과 같이 혈당 조절이 어려운 환자들은 매번 손가락을 찔러 혈당을 측정하기 곤란해, 복부 피하지방에 센서를 부착해 자동으로 시간마다 혈당수치를 확인해주는 연속혈당측정 시스템이 필수적이다.
  ○ 그러나 기존 연속혈당측정기는 가격이 높아 이용률이 높지 않았다.
  ○ 또한 기존 연속혈당측정 시스템은 효소기반으로 혈당을 측정하기 때문에 최대 14일까지만 사용할 수 있다.
  ○ 반면 케이메디허브가 연구한 유기시약을 기반으로 이식형 연속혈당측정 시스템을 개발한다면 최대 180일까지 사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케이메디허브는 기존의 연속혈당측정 시스템에 사용되고 있는 유기화학물질보다 광학적 특성이 우수하고 포도당 검출 민감도가 높은 시약을 합성해내는데 성공했다.
  ○ 기존 시약은 포도당 반응 결과를 측정하는데 필요한 광원과 검출기의 파장 차이가 작고 광원의 에너지가 높은 단점이 있어, 제작 비용이 높고 충전을 자주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 하지만 케이메디허브에서 신규 개발한 검출 시약은 광원과 검출기의 파장 차이가 기존 시약 대비 최대 3배 이상이며, 광원 에너지도 낮아 시스템 제작 비용을 낮추고 충전 횟수도 대폭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동시에 기존 시약 대비 포도당 검출 민감도는 20% 향상되었다.
 
□ 국제당뇨병연맹(IDF)의 2019년 조사결과에 따르면 전세계 성인 11명 중 1명은 당뇨병 환자이며, 2045년경에는 전체 당뇨병 환자가 전세계 인구의 7억명(약 10.9%)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 연속혈당측정 시장은 2017년 2조 8천억원에서 연간 24.6%씩 성장하여 2025년까지 20조 이상의 시장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시장은 크나 진입 장벽이 매우 높아 미국에 소재한 덱스컴, 애보트, 매드트로닉스 등의 대기업이 전세계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실정이다.
  ○ 기존 시약 대비 우수한 성능의 포도당 검출 시약 개발 발표는 연속혈당 측정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국내 관심 기업에게 희소식일 것으로 판단된다.
 
□ 해당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혁신의사과학자공동연구사업(NRF-2019M3E5 D1 A02068242)과 대구시 메디 스타트업 프로그램의 지원을 받아 이뤄낸 성과이다.
  ○ 케이메디허브 의약생산센터 임흥섭, 김중현 책임연구원(공동 교신저자), 최홍식 선임연구원, 송인혁 연구원(이상 공동 1저자) 및 박철순 선임연구원이 개발하였다.
  ○ 해당 개발 내용은 국제 학술지인 ‘어플라이드 사이언스’(Applied Science,  IF=2.679, https://doi.org/10.3390/app12062782)에 게제되고 관련 특허까지 등록 완료하였다.
 
□ 양진영 케이메디허브 이사장은 “새로 개발된 시약을 통해 보다 많은 당뇨병 환자들이 연속혈당 측정 시스템의 해택을 볼 수 있기를 희망한다”며 “미국이 장악한 세계 당뇨병 시장에 도전하고픈 국내기업들이 관심 갖길 바란다”고 말했다.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