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전체

home 알림마당 기관별 공지사항 전체

URL 주소복사

[보도자료] 디지털 헬스, 현재까지의 성과를 점검하고 미래 전망을 논하다

[보도자료] 디지털 헬스, 현재까지의 성과를 점검하고 미래 전망을 논하다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1-11-09 조회수 1,798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원문링크 https://www.khidi.or.kr/board/view?linkId=48864679&menuId=MENU00100
첨부파일

디지털 헬스,

현재까지의 성과를 점검하고 미래 전망을 논하다

- 한국보건산업진흥원,보건산업정책연구 PERSPECTIVE2호 발간 -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권순만, 이하 진흥원) 보건산업정책연구센터는 지난 3월 보건산업정책 전문 간행물인보건산업정책연구 PERSPECTIVE창간호를 발간한데 이어, 이번에 디지털 헬스, 성과와 전망을 주제로 제2를 발간한다.

 

이번 호는 보건산업 분야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된 디지털 헬스의 현황과 지금까지의 성과를 점검하는 동시에 미래 변화를 전망하고 해결해야할 과제들을 살펴보고 있다.

 

코비드19 팬더믹의 영향으로 보건의료 전반이 디지털로의 전환, 디지털 트렌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가속화되며 디지털 헬스의 효과가 주요 이슈가 되고 있다.

 

보건산업 현황과 특성을 심층 분석하는 ‘FOCUS’란은 디지털 헬스 서비스의 적용을 위한 주요 논점을 공유하고 임상적 효과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을 분석했다.

 

디지털 기술의 보건의료 서비스 적용과 거버넌스에서는 보건의료체계에 대한 디지털 기술의 성공적인 적용을 위한 거버넌스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 보건의료 서비스의 디지털 이행을 관리하고 영향을 모니터링하는 거버넌스는 보건의료체계 내 다양한 단위나 수준에서 디지털 헬스 전략을 구사하고 재정을 지원하는 의사결정을 위해 필수적이다.

 

디지털 헬스 서비스의 활용 효과에 대한 고찰에서는 디지털 헬스 서비스의 효과를 임상적으로 검증한 국내·외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연구대상, 평가지표 등의 연구동향과 특성을 분석하고 효과성에 대한 평가결과를 분석하였다.

 

- 분석결과, 해외 디지털 헬스 서비스는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질환(심혈관, 당뇨, 정신질환 등)을 중심으로 환자와 의료진 대상으로 인터넷, , 웨어러블 기기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질환관리에 이용되고 있었다. 이를 기존 치료법과 비교할 때 일부는 건강지표 개선, 입원일수 감소, 증상 완화 등의 효과가 있었지만, 일부는 별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반면, 국내 디지털 헬스 서비스는 대부분 일반인들의 일상적인 건강관리에 활용되고 있으며, 일부 혈관질환, 만성질환 환자들의 신체활동 개선에 활용되고 있는데, 디지털 헬스가 신체활동 능력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끝으로, 국내외 선행연구에서 효과성이 검증된 중재법을 바탕으로 국내 현장에 맞는 디지털 헬스 중재법 개발과 적용이 중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PROSPECT’란에서는 현장에 있는 분야별 임상 전문의들이 디지털 헬스 서비스의 활용 현황을 설명하고, 향후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요구되는 필요사항들과 건강관리와 진료 측면에서의 활용 전망을 수록하였다.

 

디지털 건강정보의 활용을 위해서는 데이터 마이 헬스웨이 데이터 고속도로 개념을 활용하여 데이터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통로 구축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비슷한 맥락에서, 지역사회 주민을 중심으로 만들어지는 건강 관련정보와 의료시설의 모든 데이터를 서로 연결하는 의료정보의 교환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철저한 데이터 익명화와 보안의 필요성도 강조되었다.

 

특별히 재활 분야는 디지털 헬스 서비스의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되는 분야로, 향후 가상현실, 증강현실, 동작인식 시스템 등을 활용하여 공간을 초월한 재택재활치료의 활성화가 전망되었다.

 

진흥원은보건산업정책연구 PERSPECTIVE발간을 통해 보건산업 관계자들에게 유의미한 연구결과들을 지속적으로 공유할 계획이며, 2022년부터는 발간 횟수를 확대하여 정책적 논의를 활성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해당 간행물은 진흥원 홈페이지(www.khidi.or.kr) 동향과 정보-보건산업정책연구게시판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