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전체

home 알림마당 기관별 공지사항 전체

URL 주소복사

[보도자료] OECD 통계로 보는 한국의 보건의료

[보도자료] OECD 통계로 보는 한국의 보건의료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07-22 조회수 9,468
출처 보건복지부
원문링크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350243
첨부파일

OECD 통계로 보는 한국의 보건의료

- OECD,「보건통계 2019」결과 발표 -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발표한 「OECD 보건통계(Health Statistics) 2019」의 주요 지표별 우리나라 및 각 국가의 수준․현황 등을 분석하였다고 밝혔다.

 ○「OECD 보건통계」는 건강 수준, 건강 위험요인, 보건의료자원, 보건의료이용, 장기요양 등 보건의료 전반의 통계를 담은 데이터베이스(DB)*이다.

     *  http://www.oecd.org/els/health-systems/health-data.htm

   - 이 DB는 회원국의 보건수준을 동일한 기준에서 비교할 수 있어 국가별 수준비교와 각국의 정책 기초자료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 OECD는 국제기구의 공통 지침을 기반으로 작성된 회원국의 통계를 제출받아 매년 갱신하고 있다.

□ 이번에 발표된 자료는 주로 2017년을 기준 시점으로 한다. 다만, 각 국의 통계작성 기준에 따라 이용 가능한 가장 최근 자료를 사용했다.

※ (유의점)OECD는 2019년 7월 2일에 통계를 공표한 이후, 일부 수정․보완하고 있으므로 자료의 추출 시점에 따라 보도 자료의 수치와 동일하지 않을 수 있음. 본 자료는 2019년 7월 5일 기준의 OECD DB를 바탕으로 작성된 것임


< 그림 붙임 참조 >

 

 

[ ]

 

 

 

1. 건강 수준 (P.4)

 

 우리나라 국민의 기대수명은 82.7년으로 OECD 국가(80.7) 비교해서 상위국에 속하며주요 질환의 사망률은 대체적으로OECD 평균보다 낮음

 

 반면, ‘본인이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비율(29.5%) OECD 국가중에서 가장 낮음

 

2. 건강 위험요인(P.7)

 

 우리나라 15세 이상 인구의 흡연율(17.5%) 1인당 연간 주류소비량(8.7) OECD 평균 수준임(*흡연율: 16.3%,주류소비: 8.9)

 

 만성질환의 주요한 원인이 되는 과체중 및 비만을 겪는 인구 비율은 OECD 국가 중에서 두 번째로 낮음

 

3. 보건의료자원 (P.10)

 

 임상의사(한의사 포함)는 인구 천 명당 2.3간호 인력은 인구 천 명당 6.9으로 인적 자원이 OECD 국가 중에서 부족한 편임(*인구 천 명당 임상의사 3.4,간호 인력 9.0)

 

 반면병원의 병상은 인구 천 명당 12.3 OECD 평균(4.7) 2.6에 이르고자기공명영상장치(MRI)와 컴퓨터단층촬영(CT) 보유대수도 OECD 평균보다 많아 물적 자원의 보유 수준은 최상위권

 

4. 보건의료이용 (P.12)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에서 국민 1인당 외래 진료 횟수(연간16.6)가 가장 많고평균재원일수(18.5)가 가장 긴 편에 속함

 

 국민 1인당 경상의료비(2,870.3 US$PPP)와 의약품 판매액(634.0US$PPP)은 계속 증가하고 있음

 

5. 장기요양 (P.16)

 

 장기요양 수급자 비율(65세 중 8.3%) OECD 평균(12.5%)보다 낮지만,급속한 고령화노인장기요양제도 강화 등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함

 

 


< 건강 수준 >

 기대수명이 10년 전과 비교해서 3.5년 증가했지만본인이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국민의 비율은 OECD 국가 중 최하위 수준

 주요 질환의 사망률은 대체적으로 OECD 평균보다 낮은 상황

 자살에 의한 사망률도 계속 감소 추세

 

 

□ (기대수명) 2017년 우리나라 기대수명은 82.7년으로 OECD 국가의 평균(80.7년)보다 2년 길었고, 기대수명이 가장 긴 일본(84.2년)과는 1.5년의 차이를 보였다.

  ※ 기대수명 : 남․여 기대수명의 평균치임

 ○ 대부분의 국가에서 생활환경의 개선, 교육수준의 향상, 의료서비스 발달 등으로 기대수명이 증가하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기대수명은 OECD 국가 중 상위국에 속한다.

【기대수명(2017)】

 

독일

프랑스

일본

한국

미국

멕시코

OECD 평균

기대수명

81.1

82.6

84.2

82.7

78.6

75.4

80.7

남 자

78.7

79.6

81.1

79.7

76.1

72.9

78.1

여 자

83.4

85.6

87.3

85.7

81.1

77.9

83.4

 

 


【기대수명의 변화(2007년-2017년)】: < 붙임 참조 >

 

□ (주관적 건강인지율) 15세 이상 인구 중에서 ‘본인이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경우는 한국(29.5%)이 가장 적었으며, 일본(35.5%)이 그 다음으로 적었다.

 ○ 반면, 호주(85.2%), 미국(87.9%), 뉴질랜드(88.2%), 캐나다(88.5%) 등 오세아니아와 북미 지역 국가에서는 조사 대상 10명 중 9명이 ‘본인은 건강하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 주관적 건강상태는 조사방법, 국민의 응답 성향과 사고방식 등에 영향을 받을 수 있음

【주관적 건강상태양호 인지율 (2017)】

 

독일

프랑스

일본

한국

미국

멕시코

OECD 평균

양호

65.4

67.4

35.5

29.5

87.9

-

67.9

 

 

< 그림 붙임 참조 >


□ (사망률*) OECD가 산출한 연령표준화사망률**에 의하면 우리나라 국민은 암에 의해서 인구 십만 명당 165.2명이, 순환기계 질환에 의해서 147.4명이, 호흡기계 질환에 의해서 75.9명이 사망하였으며, 치매에 의해서도 12.3명이 사망하였다.

  * 2017년의 사망률 정보를 질병별로 제공한 국가는 5개에 그쳐, 사망률 지표는 2016년 기준(인근 과거년도)으로 비교
 ** OECD는 회원국 간 연령구조의 차이에 따른 영향을 제거하기 위하여 OECD 인구로 표준화하여 사망률(Age-standardized death rate)을 산출하고 있어서 국내에서 발표되는 사망률 통계와 수치가 다를 수 있음


【주요 질환별 사망률(2016)】
(단위: 명/인구 십만 명)

 

독일

프랑스

일본

한국

미국

멕시코

OECD 평균

200.3

197.7

171.5

165.2

180.6

119.5

200.0

순환기계

280.4

157.3

142.4

147.4

254.0

294.5

279.7

호흡기계

53.7

46.4

82.4

75.9

81.2

99.0

66.0

치매

30.9

19.8

4.4

12.3

35.0

2.6

24.3

   주: 프랑스는 2015년 수치

□ (자살) 2016년 우리나라의 자살 사망률은 인구 십만 명당 24.6명으로 OECD 국가 중에서 리투아니아(26.7명) 다음으로 높지만,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다.

 

【자살에 의한 사망률(2016)】
(단위: 명/인구 십만 명)

 

독일

프랑스

일본

한국

미국

멕시코

OECD 평균

전 체

10.2

13.1

15.2

24.6

13.9

5.4

11.7

남 자

16.3

21.8

22.1

37.4

22.2

9.5

19.0

여 자

4.9

5.8

8.6

14.1

6.2

1.8

5.2

 

 
【자살에 의한 사망률의 변화(2007년-2016년)】: < 붙임 참조 >

 

□ (영아사망률) 2017년 우리나라의 영아사망률은 출생아 천 명당 2.8명으로 OECD 평균(3.8명)보다 1.0명 낮았다.


【영아사망률(2017)】
(단위: 명/출생아 천 명)

 

독일

프랑스

일본

한국

미국

멕시코

OECD 평균

영아 사망률

3.3

3.9

2.0

2.8

5.8

12.1

3.8

 

 < 그림 붙임 참조 >


< 건강 위험요인 >

 2017 OECD 평균과 비슷한 수준을 보인 흡연율과 주류소비량이 지 10년간 감소 추세

 반대로 과체중 및 비만 인구 비율은 증가 추세

 


□ (흡연율) 2017년 우리나라 15세 이상 인구 중 매일 담배를 피우는 사람의 비율은 17.5%로 OECD 평균(16.3%)을 약간 상회 하였다.
 
 ○ 흡연율은 2007년 24.0%, 2012년 21.6%, 2017년 17.5%로 지난 10년간 감소 추세를 보였다.

 ○ 성별에 따라 살펴보면, 남자의 흡연율은 OECD 국가 중에서 가장 높은 편이나 감소* 추세이다.

   * 한국의 남자 흡연율 : (’07) 43.0% ➡ (’17) 31.6%


【흡연율(2017)】
(단위: %)

 

독일

영국

일본

한국

미국

멕시코

OECD 평균

전 체

18.8

17.2

17.7

17.5

10.5

7.6

16.3

남 자

22.3

19.1

29.4

31.6

11.5

12.0

20.2

여 자

15.3

15.5

7.2

3.5

9.5

3.6

12.7

 

 

< 그림 붙임 참조 >

 

□ (주류소비량) 순수 알코올*을 기준으로 측정한 우리나라 15세 이상 인구 1인당 주류소비량은 2017년에 연간 8.7ℓ로 OECD 평균(8.9ℓ) 수준이었다.

 * 맥주는 4∼5%, 포도주는 11∼16%, 독주는 40%의 알코올로 환산

 ○ 주류소비량은 2007년 9.3ℓ, 2012년 9.1ℓ, 2017년 8.7ℓ로 지난 10년간 감소 추세를 보였다.

 

【주류 소비량(2017)】
(단위: 순수 알코올 리터(ℓ))

 

 

독일

프랑스

일본

한국

미국

멕시코

OECD 평균

주류 소비량

10.9

11.7

7.2

8.7

8.9

4.4

8.9

 


   주: 독일, 미국, 멕시코는 2016년 수치

□ (과체중 및 비만) 키와 몸무게의 측정에 의해서 ‘과체중 및 비만’으로 판명된 15세 이상 국민은 33.7%로 일본(25.9%)에 이어 두 번째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 하지만, 우리나라의 과체중 및 비만 인구 비율은 2007년 31.0%, 2012년 31.8%, 2017년 33.7%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 남미 지역인 칠레(74.2%)와 멕시코(72.5%)는 국민 10명 중 7명이 과체중이거나 비만이었다.


【과체중 및 비만인구 비율(2017)】
(단위: %)

 

독일

프랑스

일본

한국

미국

멕시코

OECD 평균

전 체

-

49.0

25.9

33.7

71.0

72.5

59.3

남 자

-

53.9

30.7

39.7

74.1

69.4

62.5

여 자

-

44.2

21.9

27.7

67.9

75.6

56.1

 

 < 그림 붙임 참조 >

 < 보건의료자원 >

 

 OECD 국가와 비교해서 임상 의사간호 인력(간호사간호조무사등 인적 자원은 부족

 병상의료장비(MRI, CT 스캐너등 물적 자원은 과다

 최근 5년간 병원 병상 수 증가에는 장기요양 병상 확대가 큰 영향

 

 □ (임상 의사) 2017년 우리나라의 임상 의사 수(한의사 포함)는 인구 천 명당 2.3명으로 OECD 국가 중에서 가장 적었다. (※ OECD 평균: 3.4명)

 ○ 가장 많이 확보한 국가는 오스트리아(5.2명)와 노르웨이(4.7명)이고, 가정 적게 확보한 국가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폴란드(2.4명), 일본(2.4명), 멕시코(2.4명)이다.


【임상 의사 수 (2017)】
(단위: 명/인구 천 명)

 

독일

프랑스

일본

한국

미국

멕시코

OECD 평균

임상의사수

4.3

3.2

2.4

2.3

2.6

2.4

3.4

 

 

 

< 그림 붙임 참조 >

 □ (간호인력) 우리나라의 간호 인력(간호사, 간호조무사)은 인구 천 명당 6.9명으로 OECD 평균(9.0명)보다 2.1명 적었다.


【간호인력(2017)】
(단위: 명/인구 천 명)

 

독일

영국

일본

한국

캐나다

멕시코

OECD 평균

간호인력

12.9

7.8

11.3

6.9

10.0

2.9

9.0

 

  □ (병상 수) 2017년 병원의 병상 수는 인구 천 명당 12.3개로 일본(13.1개)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으며, OECD 평균(4.7개)의 약 3배 가까이 되었다.
 
 ○ 최근 5년간 인구 천 명당 병상은 연평균 3.7% 증가하였고, 이를 구성 OECD는 병원의 병상을 기능에 따라 급성기 병상(2017년 기준 58.2%), 재활 병상(0.4%), 장기요양 병상(41.2%), 기타 병상(0.3%)으로 구분함. 각각의 병상은 정신병상을 포함  
하는 급성기 치료* 병상은 0.4% 증가한 반면, 장기요양 병상은 9.5% 증가하였다.
 
 * 급성기 치료: 생명이나 정상적 기능을 위협하는 질병의 증상 완화, 질병이나 부상의 통증의 감소, 부상이나 질병의 합병증 및 악화 방지 등을 주요 목적으로 제공하는 의료서비스

【병원 전체 병상 수 (2017)】
(단위: 병상 수/인구 천 명)

 

독일

프랑스

일본

한국

미국

멕시코

OECD 평균

병상 수

8.0

6.0

13.1

12.3

2.8

1.4

4.7

 

 < 그림 붙임 참조 >

 
□ (의료장비) 2017년 우리나라의 자기공명영상(MRI) 보유 대수는 인구 백만 명당 29.1대, 컴퓨터단층촬영기(CT스캐너)는 인구 백만 명 당 38.2대로 모두 OECD 평균을 상회하였다.
 
【주요 의료장비 보유 대수 (2017)】
(단위: 대수/인구 백만 명)

 

독일

프랑스

일본

한국

미국

멕시코

OECD 평균

MRI

34.7

14.2

55.2

29.1

37.6

2.6

17.4

CT

35.1

17.4

111.5

38.2

42.6

5.8

27.8

 

 < 보건의료이용 >

 국민 1인당 의사 외래 진료 횟수는 16.6회로 OECD 국가 중 최상위권

 전체 평균재원일수(18.5) OECD 평균(8.2) 2배 이상급성기 치료 환자의 평균재원일수(7.5) OECD 평균(6.4)에 근접

 GDP 대비 경상의료비 지출규모는 7.6% OECD 평균(8.8%)에 비해 다소 낮지만빠른 속도로 증가

 

 

□ (외래 진료) 2017년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의사에게 외래 진료를 받은 횟수는 연간 16.6회로 OECD 국가 중 가장 많았고, 이는 회원국들의 평균(7.1회)보다 2.3배 높은 수준이다.
 ○ 일본(12.6회)이 우리나라에 이어 두 번째로 1인당 외래 진료 횟수가 많고, 스웨덴(2.8회)과 멕시코(2.8회)가 ‘3회 미만’으로 가장 적었다.
  
【국민 1인당 의사 외래 진료 횟수 (2017)】: < 붙임 참조 >

 
□ (평균재원일수) 2017년 우리나라 전체 입원 환자의 1인당 평균재원일수는 18.5일로 OECD 국가 중에서 일본(28.2일) 다음으로 길었다. (※ OECD 평균:8.2일)
 
 ○ 한편, 2017년 우리나라의 급성기 치료 평균재원일수는 7.5일로 OECD 평균(6.4일)을 약간 상회하였다.
   
【평균재원일수의 변화(2007년-2017년)】: < 붙임 참조 >

 

 □ (제왕절개) 2017년 우리나라의 제왕절개 건수는 출생아 천 명당 451.9건으로 OECD 국가 중 터키(531.4건)에 이어 많이 실시하였다. (※ OECD 평균:265.7건)

  * 제왕절개(출생아 천 명당 수술건수) : (’07) 353.4건 ➡ (’17) 451.9건

【제왕절개 건수 (2017)】: < 붙임 참조 >

 


□ (경상의료비) 보건의료부문 서비스 및 재화에 소비된 국민 전체의 1년간 지출 총액을 의미하는 경상의료비는 2017년 국내총생산(GDP) 대비 7.6%로 OECD 평균(8.8%)에 비교해서 다소 낮았다.
 
 ○ 1인당 경상의료비는 2,870.3 US$PPP*로 지난 10년간 연평균 6.0%씩 증가하였다. (※ OECD 연평균 증가율: 1.8%)

 * 각 국의 물가수준을 반영한 구매력평가환율임(PPP: Purchasing Power Parity)

【GDP 대비 경상의료비 (2017)】
(단위: %)

 

독일

프랑스

일본

한국

미국

멕시코

OECD 평균

GDP 대비 경상의료비

11.2

11.3

10.9

7.6

17.1

5.5

8.8

 

 


 ○ 가계직접부담 비중은 2007년 36.2%, 2012년 35.0%, 2017년 33.7%로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 (의약품 판매액 및 소비량) 2017년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의약품 판매액은 634.0 US$PPP로, OECD 평균(472.6 US$PPP) 보다 161.4US$PPP 높았다.

 ○ 국가별로는 그리스(751.5), 벨기에(736.2)의 의약품 판매액이 1인당 700 US$PPP를 넘으면서 우리나라보다 많았다.

【의약품 판매액 (2017)】
(단위: 1인당 US$, PPP)

 

독일

영국

일본

한국

캐나다

멕시코

OECD 평균

의약품 판매액

596.6

427.7

517.7

634.0

647.9

90.7

472.6

 

  < 그림 붙임 참조 >

 
 ○ 주요 의약품의 소비량을 살펴보면, 항우울제가 22.0DDD/천명/일(이하 DID) DID: Defined daily dosage(DDD) per 1,000 inhabitants per day
로 OECD 평균(63.0DID)의 약 1/3 수준으로 확인된 반면, 항생제는 32.0DID로 OECD 평균(19.1DID)의 약 1.7배로 확인되었다.   
  
【주요 의약품 소비량 (2017)】
(단위: DDD/천명/1일)

 

독일

영국

호주

한국

캐나다

멕시코

OECD 평균

항우울제

56.9

107.9

109.2

22.0

110.3

-

63.0

항생제

12.5

18.0

17.8

32.0

16.3

-

19.1

 

 < 장기요양 >

 장기요양 수급자(65세 이상 인구 중 8.3%) OECD 국가 평균에 비교해서 적지만 급속한 고령화의 영향으로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강화에 따라 인력과 시설 등 장기요양서비스 제공 기반(인프라)이 계속적으로 확충

 

□ (장기요양 수급자) 65세 이상 노인 인구 중 우리나라의 장기요양 수급자 유급 장기요양서비스(시설서비스 또는 재가서비스)를 받는 사람을 의미함. OECD는 시설과 재가를 구분하여 통계를 수집하고 공표하고 있음.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두 가지 제도를 병행하여 운영하는 국가는 두 가지 서비스를 동시에 수급한 경우에 중복 집계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비율*은 8.3%로 OECD 평균(12.5%)보다 낮았다.

    * 장기요양 수급자 비율(%, 65세 이상 인구) : (’08) 2.8% ➡ (’17) 8.3%

 ○ 급속한 고령화 등에 따른 장기요양 수급자 증가에 따라 GDP에서 장기요양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2008년 0.3%에서 2017년 0.9%로 증가하였다.
 
   - GDP 대비 장기요양지출비의 비중이 가장 많은 국가는 노르웨이와 스웨덴(각각 2.9%)으로 집계되었다.
  
□ (장기요양 돌봄종사자) 2017년 우리나라의 공식 장기요양 돌봄종사자 수*는 65세 이상 인구 백 명당 3.6명으로 OECD 평균(5.0명)보다 1.4명 적었다.

   *  장기요양 돌봄종사자 수(65세 이상 인구 백 명당) : (’09) 2.7명 ➡ (’17) 3.6명

 ○ 장기요양 돌봄 종사자 수가 많은 국가는 노르웨이(12.7명)와 스웨덴(12.3명)이다.
 
□ (장기요양 병상 및 침상) 65세 이상 인구 천 명당 ‘요양병원의 병상과 시설의 침상 거주형 장기요양시설(노인요양시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이 보유한 장기요양침상을 의미
’은 60.9개로 집계되었다.

   * 장기요양 병상 및 침상(65세 이상 인구 천 명당) : (’07) 24.8개 ➡ (’17) 60.9개

【요양병원의 병상수와 장기요양 시설 침상수 (2017)】: < 붙임 참조 >

  

□ 보건복지부는 모두를 포용하는 보건복지정책을 통해 개인·가정·사회를 건강하게 만듦으로써 국민들의 삶의 수준을 높이는 견인차 역할을 하는 주무부처로서,

 ○ 이번 분석 자료를 통해 국제사회 보건의료 분야의 우리나라 위치를 확인하고, 보건의료제도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 붙임 > 1. OECD Health Statistics 2019 개요
2. OECD Health Statistics 2019 요약표
3. 주요 지표 작성 기관


※ 문의처: 보건복지부 정책통계담당관 배영신 사무관(044-202-2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