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수출입 현황

home > 글로벌제약산업정보> 무역환경> 수출입 현황

글자크기

중국 수출입현황

중국 수출입현황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원문,출처, 첨부파일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04-08 조회수 3,629
국가정보 아시아>중국
원문 KOTRA
출처 http://news.kotra.or.kr/user/nationInfo/kotranews/14/userNationBasicView.do?nationIdx=53
첨부파일


  1. . 연도별 수출입 동향  

중국의 연도별 수출입 동향

(단위: 백만 달러, %)

연도

수출입 합계

수출

수입

수지

2002년

620,945(21.7)

325,642(22.1)

295,303(21.2)

30,339(31.4)

2003년

851,569(37.1)

438,473(34.6)

413,096(39.9)

25,377(△16.4)

2004년

1,154,458(35.6)

593,647(35.4)

560,811(35.8)

32,836(29.4)

2005년

1,422,549(23.2)

762,327(28.4)

660,222(17.7)

102,105(211.0)

2006년

1,761,118(23.8)

969,324(27.2)

791,794(19.9)

177,530(73.9)

2007년

2,174,416(23.5)

1,218,155(25.7)

956,261(20.8)

261,894(47.5)

2008년

2,560,338(17.7)

1,428,869(17.3)

1,131,469(18.3)

297,401(13.6)

2009년

2,205,940(△13.8)

1,202,047(△15.9)

1,003,893(△11.3)

198,155(△33.4)

2010년

2,972,353(34.7)

1,578,444(31.3)

1,393,909(38.9)

184,535(△6.9)

2011년

3,640,938(22.5)

1,899,314(20.3)

1,741,624(24.9)

157,690(△14.5)

2012년

3,867,453(6.2)

2,050,109(7.9)

1,817,344(4.3)

232,765(47.6)

2013년

4,152,238(7.4)

2,210,772(7.8)

1,941,466(6.8)

269,306(15.7)

2014년

4,306,327(3.7)

2,343,222(6.0)

1,963,105(1.1)

380,117(41.1) 

2015년

3,882,035(△9.9)

2,280,437(△2.7)

1,601,598(△18.4)

678,839(78.6)

2016년

3,660,012(△5.7) 

2,135,308(△6.4)

1,524,704(△4.8)

610,604(△10.0)

2017년

 4,107,164(11.4)

 2,279,162(6.8)

 1,790,000(17.5)

 489,162(△20.0)

2018년 상반기

2,204,741(15.9)

1,171,659(12.7)

1,033,083(19.9)

138,576(22)

주: (    ) 괄호 안 숫자는 전년동기대비 증감률임.  

자료원: 중국해관


2018년 상반기 수출입은 중국의 수입 확대 정책에 따라 전년 동기대비 비교적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수출은 전년 동기대비 12.7% 증가, 수입은 전년 동기대비 19.9% 증가하여, 무역수지는 1,386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 품목별 수출입 동향

 

1) 품목별 수출

2018 1분기 중국 품목별 수출통계를 보면 전자기기, 기계류 등 품목 수출이 대부분 증가세를 보인 가운데 LDD,광학기기, 조명기구는 전년 동기대비 감소세를 보였다. 수출품목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통신전자부품 수출은 531억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17.3% 증가했다.

  1. 최근 중국의 품목별 수출 실적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HS

품명

2014

2015

2016

2017

2018 Q1

총계

2,343,222(6.0)

2,280,437(△2.7)

2,135,308(△6.4)

2,279,162

(6.8)

546,052

(13.0)

1

8517

통신전자부품

195,317(11.6)

213,412(9.3)

201,768(△5.5)

220,146

(9.1)

53,141

(17.3)

2

8471

자동자료처리기계

163,421(1.1)

137,303(16.0)

125,061(△8.9)

142,187

(13.7)

32,843

(12.4)

3

8542

전자집적회로

61,213(30.5)

70,125(14.6)

63,756(△9.1)

66,634

(4.5)

18,084

(31.8)

4

8473

기계부품

31,233

(6.3)

28,918(△7.4)

25,921

(△10.4)

32,858

(31.6)

10,085

(59.4)

5

2710

석유와 역청유(원유제외)

25,402

(3.6)

19,098

(△24.8)

19,371

(1.4)

25,500

(31.6)

7,992

(38.1)

6

8708

자동차부품

28,477(11.5)

28,285(△0.7)

28,488

(0.7 )

31,073

(9.1)

7,946

(16.1)

7

8528

TV수신기기

30,330(13.8)

28,182(△7.1)

28,290

(0.4)

31,497

(11.3)

7,250

(17.0)

8

8541

다이오드반도체

30,641

(9.9)

33,585

(9.6)

27,267(△18.8)

26,730(2.0)

6,980

(11.4)

9

9013

LCD, 광학기기

34,701(△10.3)

33,961(△2.1)

29,140(△14.2)

28,504(△2.2)

6,441

(1.5)

10

9405

조명기구

31,109(26.1)

35,792(15.1)

31,901(△10.9)

29,557(△7.3)

6,064

 (1.1)

주: (    ) 괄호 안 숫자는 전년동기대비 증감률임.

자료원: 중국해관


2) 품목별 수입


중국의 10대 수입품은 전자집적회로, 석유와 역청유(원유 포함), 철광석, 자동차, 유선전신기기, LCD 및 광학기기, 대두, 석유가스, 자동차 부품 등으로 수출상품 구조와의 유사성이 강한 편이다. 이는 중국의 대외무역 구조가 외국산 원부자재를 도입하여 가공한 후에 재수출하는 가공무역에 의존하는 비중이 여전히 높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최근 중국의 품목별 수입 실적

  1.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HS

품명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 Q1

총계

1,963,105(1.1)

1,601,598(-18.4)

1,524,704(△4.8)

1,790,000(17.5)

480,574

(18.7)

1

8542

전자집적회로

219,220(△5.5)

231,100(5.4)

230,354(△0.3)

259,563(12.7)

70,701

(38.9)

2

2709

석유와 역청유

(원유 포함)

228,129(3.9)

134,152(△41.2)

115,308(△14.1)

160,751(39.4)

52,853(29.5)

3

2601

철광석

94,551(△9.9)

57,941(△38.7)

56,785(△2.0)

75,960(33.8)

19,411

(△9.0)

4

8703

자동차

59,710(25.8)

(△26.0)

43,981(△0.5)

49,947(13.6)

12,411(16.0)

5

8517

유선전신기기

43,877(△6.4)

48,996(11.7)

45,927(△6.3)

47,764(4.0)

11,383(12.5)

6

2711

석유가스

30,201(22.5)

24,976(△17.3)

22,995(△7.9)

32,946(43.3)

10,930(58.4)

7

9013

LCD광학기기

50,000(△9.9)

46,345(△7.3)

38,418(△17.1)

37,198(△3.2)

8,258(△4.7)

8

1201

대두

40,330(6.0)

34,942(△13.4)

34,018(△2.6)

39,739(16.8)

8,216(△2.8)

9

2603

구리광

21,839(9.1)

19,441(△11.0)

20,519(5.5)

25,971(26.6)

8,183(36.5)

10

8708

자동차 부품

27,380(13.3)

23,376(△14.6)

25,451(8.9)

27,078(6.4)

7,040(9.0)

주: 괄호 안 숫자는 전년동기대비 증감률임.

자료원: 중국해관

 

. 국가별 수출입 동향

 

1) 국가별 수출

 

중국의 주요 수출 대상국(지역)은 미국, 홍콩, 일본, 한국, 베트남 등이며 2018 1분기 기준으로 이 5개 국가(지역)로의 수출이 전체 수출의 44%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의 전체 수출에서 주요국이 차지하는 변동성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주요 수출 대상국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 Q1

총계

2,343,222.0(6.0)

2,280,437(△2.7)

2,135,308(△6.4)

2,279,162(6.8)

546,052(13.0)

미국

396,063.0(8.1)

410,017(3.5)

388,617(△5.2)

 431,783(11.1)

99,762(13.6)

홍콩

360,947(△7.5)

332,537(△7.9)

292,610(△12.1)

 280,877(3.9)

64,816(12.2

일본

149,452(0.5)

135,897(△9.1)

129,505(△4.7)

137,091(5.9)

34,391(6.9)

한국

100,402(10.8)

101,429(1.0)

95,747(△5.6)

 102,939(7.5)

24,807(4.6)

베트남

63,618(31.1)

66,372(4.3)

60,910(△8.2)

 71,642(17.6)

17,797(24.4)

인도

54,237(12.2)

58,259(7.4)

59,428(2.0)

68,097(14.6)

17,586(17.9)

독일

72,731(8.4)

69,204(△4.8)

66,000(△4.6)

 71,336(8.1)

17,407(10.7)

네덜란드

64,923(7.9)

59,654(△8.1)

56,592(△5.2)

67,533(16.4)

16,229(14.3)

영국

57,133(12.9)

59,664(4.4)

56,592(△5.2)

 57,225(1.1)

11,685(2.6)

싱가포르

48,707(7.3)

53,148(9.1)

47,417(△10.8)

 46,129(△2.7)

11,524(8.5)

주: 괄호 안 숫자는 전년동기대비 증감률임.

자료원: 중국해관


2) 국가별 수입


2018 1분기 기준 중국의 주요 수입 대상국(지역)은 한국, 일본, 미국, 대만, 독일 등이다. 이들 5개 국으로부터의 수입 비중이 전체 수입 실적의 40%를 차지했다. 한편, 한국은 2013년 이후 중국의 수입대상국 1위를 유지하고 있지만 2017년 중국 수입시장에서의 비중이 7.8%10% 미만으로 하락했다가 2018 1분기 9.8%로 다시 상승하기 시작했다(15 10.9%16 10.4%17 7.8%). 이는 작년 사드문제로 수입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며, 양국 정상회담 이후 관계가 회복조짐이 있는 것으로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주요 수입 대상국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Q1

총계

1,963,105(1.1)

1,601,598(△18.4)

1,522,886(△4.9)

2,279,162

(6.8)

480,574(18.7)

한국

190,286(6.1)

174,289(△8.4)

158,762(△8.9)

177,269(11.7)

47,141(17.1)

일본

162,686(2.3)

142,716(△12.3)

145,238(1.8)

165,000(13.6)

 41,240(13.1)

미국

153,131(6.1)

143,983(△6.0)

139,792(△3.3)

149,661(13.0)

 40,296(11.6)

대만

152,310(1.3)

144,488(△5.1)

132,394( △8.1)

155,211(11.0)

40,142(23.5)

독일

90,132(△1.4)

87,470(△16.5)

86,113(△1.6)

96,578(12.2)

 25,095(18.5)

호주

55,771(△5.3)

65,141(△27.7)

63,538(△2.5)

86,106(35.5)

 23,060(5.3)

말레이시아

51,976(△2.9)

53,227(△4.6)

45,405(2.3)

54,336(10.8)

14,271(17.9)

브라질

48,679(△8.7)

44,380(△14.6)

49,036(△7.9)

58,301(28.4)

13,996(25.5)

러시아

41,558(5.6)

33,145(△20.2)

31,827(△4.0)

40,824(28.3)

12,692(33.1)

베트남 

41,558(5.6)

33,145(△20.2)

31,827(△4.0)

40,475(48.5)

11,640(65.7)

주: 괄호 안 숫자는 전년동기대비 증감률임.

자료원: 중국해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