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연구개발) 정보
home > 제약글로벌정보센터> 의약품 R&D 정보> R&D(연구개발) 정보
- 글자크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빅데이터(K-COV-N) 연구 성과 소개 및 활용방안
작성자 | 관리자 | ||
---|---|---|---|
작성일 | 2024-12-31 | 조회수 | 507 |
국가정보 | 아시아>대한민국 | ||
출처 | 질병관리청 | ||
원문 | https://www.phwr.org/journal/view.html?doi=10.56786/PHWR.2024.17.48.4 | ||
첨부파일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빅데이터(K-COV-N) 연구 성과 소개 및 활용방안
서 론
우리나라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대응에 있어 적극적인 역학조사와 생활방역 등을 통해 성공적인 방역을 수행하였다고 평가받고 있다[1,2]. 이에 발맞추어 방역정책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고, 질병관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건보공단)은 코로나19 빅데이터 감시체계 구축 및 운영을 위한 기관 간 자료를 제공 공유하기 위한 업무 협약을 진행(2021. 4. 29.)하였다[3]. 또한, 코로나19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코로나19 확산 방지에 적극 대응 및 향후 신종 감염병 발생 시 대응체계 강화 등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론
1. 추진배경 및 경과
질병관리청과 건보공단은 상호협력을 통하여 코로나19 관련 자료를 통합 연계함으로써, 코로나19 전주기 자료와 공단의 전 국민건강정보를 결합한 우리나라만의 감염병 연구 빅데이터 분석환경을 구축하였다. 해당 빅데이터 자료에는 확진일자 등 확진정보, 증상유무 등 발병정보, 접종차수 등 예방접종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를 통해 방역정책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 코로나19로 인한 건강 피해 분석과 적극적인 예방 및 치료법 개발을 도모하며, 민간 연구진에게 개방(2022. 4.)하여 코로나19 빅데이터를 활성화하였다[4].
질병관리청의 코로나19 확진자, 예방접종 자료와 건보공단의 전국민 건강정보를 결합하여 구축한 빅데이터를 K-COV-N (KDCA Covid-19 NHIS cohort)으로 명명하였다.
코로나19 빅데이터를 신청하기 위해서는 건보공단 건강보험자료 공유서비스 누리집에 신청하여야 하며, 신청된 자료 요청건들을 대상으로 질병관리청에서 코로나19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 이용에 대해 적정성 심의를 실시한다. 이후 질병관리청 심의 승인 건에 한하여 건보공단 데이터제공심의위원회를 거쳐 자료를 신청자에게 최종 제공하게 된다.
코로나19 빅데이터는 건보공단에서 신청자의 연구목적에 맞게 맞춤형 DB 형태로 추출하여 제공되며, 추출 시 개인정보 비식별화 과정을 거쳐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삭제한다.
2.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빅데이터 활용 연구 성과 소개 및 활용방안
2022년 4월에 코로나19 빅데이터 개방 이후 2024년 10월 2일 현재까지 누적 총 211건 승인, 총 30건의 논문이 국제학술지에 게재되어, 코로나19 빅데이터를 활용한 활발하고 다양한 연구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
.
* 자세한 사항은 원문링크와 첨부파일을 참고바랍니다.(출처: 질병관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