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발간보고서

home > 자료실> 발간보고서

글자크기

코로나19의 수출 영향 및 전망

코로나19의 수출 영향 및 전망 : 작성자, 카테고리, 작성일, 조회수, 원문,출처, 첨부파일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카테고리 기타
작성일 2020-05-12 조회수 2,900
원문 한국무역협회
출처 https://www.kita.net/cmmrcInfo/rsrchReprt/rsrchReprt/rsrchReprtDetail.do?pageIndex=1&no=2065&classification=1&searchReqType=detail&searchStartDate=&searchEndDate=&searchClassification=&searchKeyword=
첨부파일

1/4분기 한국 수출, 코로나19로 감소했지만 경쟁국 대비 ‘선방(善防)’

- 코로나19의 영향으로 2월부터 일평균 수출 하락세 지속 -

- 청정가전, 의료용품·의약품, 건강식품, 위생용품, 홈뷰티, 홈쿠킹, 디지털장비 등 7대 소비재 수출 유망 -

 

2020년 코로나19로 우리 수출이 감소하고 있지만 미국, 일본, 중국 등 주요 경쟁국에 비해서는 감소폭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3월 한국 수출은 1.4% 감소해 미국(-3.1%), 일본(-5.4%), 홍콩(-10.7%)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감소율이 낮았다. 특히 인도(-12.8%)와 중국(-13.4%)의 감소율은 우리나라의 9배가 넘어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분기 우리 수출이 경쟁국에 비해 선전할 수 있었던 것은 반도체 가격 하락, 국제유가 급락 등으로 인해 단가가 7.7% 하락했음에도 기존 계약물량이 나가면서 물량은 오히려 5.8% 늘었기 때문이다.


이 결과 1분기 중 중국과 유로존의 성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6.8%, -3.3%로 뒷걸음질 치고 미국은 0.3% 성장하는 데 그쳤지만 우리나라는 1.3% 성장할 수 있었다.


한편, 3월까지는 중국, 아세안, 중남미 등을 중심으로 일평균 수출이 부진했으나, 미국과 유럽 내 자동차 공장의 가동중단과 소비 위축 등의 영향으로 4월부터는 미국, EU 등도 일평균 수출이 플러스에서 마이너스로 전환되면서 최근 수출의 부진한 흐름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주요 업종별로는 자동차, 스마트폰, 가전, 전기전자 등 전방산업 수요 둔화에 따라 반도체, 석유화학, 디스플레이 등의 수출이 감소하고, 제조업 및 건설경기 위축으로 철강제품·기계 등의 수요도 감소하고 있다. 2~4월 중 석유제품, 석유화학, 선박, 자동차, 반도체 수출이 감소하면서 2~4월 일평균 수출 감소분의 72.4%를 차지했다.


향후 우리 수출은 최근 확진자가 급증하는 미국, 유럽 등 선진국에서 경기침체가 본격화되면서 2/4분기에 가장 큰 감소율을 보인 이후 부진이 점차 완화되면서 U자 반등의 양상을 띨 것으로 보인다. 


한편,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수요 위축 속에서도 소비패턴과 생활방식 변화로 세계적으로 우수성을 인정받은 우리 제품의 수출이 유망해지고 있다. 코로나19를 계기로 위생 및 건강에 대한 인식 제고로 청정 가전, 의료용품, 건강보조식품, 위생용품 등에 대한 수출이 늘어날 전망이며, 홈뷰티, 홈쿠킹, 홈트 등 집에서 식사·미용·운동을 하는 트렌드가 확산되면서 간편식품, 주방용품, 운동·레저용품 수출이 유망하다. 또한, 재택근무, 온라인강의 전환 등 홈오피스 구축, 소비의 온라인화로 비대면 의사소통 및 배송을 위한 디지털장비의 필요성도 높아졌다.


따라서 각국이 경기 부양책을 꺼내면서 3분기 이후 소비 수요가 반등할 것에 대비하여 그동안의 경영전략을 재점검하고 새로운 기회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우리 기업들은 수출시장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해 리스크를 최소화하면서 경영전략 재점검을 통해 새로운 기회를 모색해야 하며, 정부는 수출 기업의 해외 마케팅에 더욱 많은 관심과 지원에 나서는 동시에 규제 개선, 법인세 인하, 연구개발(R&D) 지원 등 국내 기업환경 개선을 통해 부품·소재와 부가가치가 높고 기술혁신 수준이 높은 산업의 국내 생산기반을 강화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