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기술
주요기술
주요기술
자가면역뇌염의 새로운 치료 기술 확립
작성자 | 김상훈 | 카테고리 | 서울대학교병원 |
---|---|---|---|
작성일 | 2016-12-27 | 조회수 | 7,477 |
자가면역뇌염의 새로운 치료 기술 확립
개발자
이상건 교수, 주건 교수, 이순태 교수 (신경과)
기술개요
- 자가면역뇌염은 의식저하, 기억력저하, 뇌전증발작등을 일으키는 중증 난치성 신경질환임.
- Rituximab은 CD20양성의 B세포를 제거하는 약물로써, 본 치료 기술은 자가면역뇌염 환자에서 rituximab을 이용한 치료기술을 확립한 최초의 대규모 임상 연구결과임.
기술설명
- 자가면역뇌염 환자에서 1차 치료제에 대한 불응하는 경우 Rituximab 치료를 시작함
- Rituximab 의 기존 치료 프로토콜인 매주 (375g/m^2) 4주간 투여 이후 4주 간격으로 375g/m^2을 추가 투여하며 임상적 증상이 안정화될때까지 유지함
- Rituximab 치료군에서 신경학적 기능의 유의한 호전이 있었으며, 자가면역의 다양한 원인군에서 모두 효과가 있었음.

기술특징
- 1차 치료에 불응하는 자가면역성 뇌염 환자의 예후를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치료 기술임
- 여러 자가면역 항체 타입에서 효과가 입증되었으며, 자가면역 항체가 검출되지 않은 환자에서도 비슷한 효과를 가지는 보편적인 치료 기술임
- 약물이상반응, 면역기능 저하에 의한 기회감염 등의 위험성이 높지 않은 안전한 치료 기술임
활용분야
- 난치성 신경질환인 자가면역 뇌염의 치료법을 개발한 성과임.
- Rituximab을 이용한 새로운 치료 기술은 기존의 rituximab사용 프로토콜에 비해 효과는 더 높으면서, 안전성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으로 향후 자가면역 뇌염의 표준 치료 방법으로 정립될 수 있음.
- 기존에 정립된 1차 치료제에 비해서도 효과 및 안정성 면에서 장점이 있음
- 향후 자가면역 뇌염의 1차 치료 방침으로 인정될 가능성이 높음.
연락처
- 담당자 : 이상건 교수, 주건 교수
- 소속 : 서울대학교병원 신경과
- 이메일 : sangkun2923@gmail.com, stemcell.snu@gmail.com
- Reference: Lee WJ, Lee ST, Byun JI, Sunwoo JS, Kim TJ, Lim JA, Moon J, Jung KH, Jung KY, Lee SK, Kim M, Chu K. "Rituximab treatment for autoimmune limbic encephalitis in an institutional cohort." Neurology (2016): 10-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