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home 알림마당 보도자료

글자크기

전문가들, 국내 디지털 헬스 산업 성장세 예상

전문가들, 국내 디지털 헬스 산업 성장세 예상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보도시작시간,보도시작일, 첨부파일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1-04-07 조회수 7,922
첨부파일

전문가들, 국내 디지털 헬스 산업 성장세 예상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디지털 헬스 산업 분석 및 전망 연구」보고서 발간
국내·외 시장 및 R&D 동향, 전문가 델파이 조사 통한 전망 예측


□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권순만, 이하 진흥원) 보건산업정책연구센터는 ‘디지털 헬스 산업 분석 및 전망 연구’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 ‘디지털 헬스 산업 분석 및 전망 연구(연구책임자 김지은 책임연구원)’는 최근 보건산업의 주요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디지털 헬스 산업에 대한 이해를 돕고 디지털 헬스 산업의 주요 분야별 동향과 함께 연구개발을 중심으로 하는 정책 지원 현황과 향후 산업 전망 등을 결과로 제시하고 있다.

 ○ 시장조사업체 GIA에 의하면 세계 디지털 헬스 산업은 2020년 1,520억 달러 규모이며, 2027년에는 5,080억 달러 규모로 큰 폭의 성장률(18.8%)이 예상되는 분야이다. 이는 세계 반도체 시장 규모인 4,330억 달러*의 35%(2020년 기준)에 해당한다.
   * 출처: 세계반도체무역통계기구(WSTS)

 ○ 분야별*로 살펴보면, 모바일 헬스 산업은 전체의 57%(860억 달러, 2020년)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텔레헬스케어는 전체의 4%로 규모가 작으나 성장률은 30.9%로 가장 높게 전망된다.
   * 디지텔 헬스 산업은 기술별/구성요소별로 분류되며, 산업 전체를 모바일 헬스, 디지털 헬스시스템, 헬스분석, 텔레헬스케어로 분야로 분류한 사례(딜로이트(2015))를 [참고]로 하며, 해당 분류와 동일한 시장전망조사 자료를 인용함
 ○ 국내 디지털 헬스 산업은 해당 산업의 범주에 대한 정립이 필요하고 기존 산업 규모 및 전망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여, 전문가 대상의 조사*를 통해 국내 디지털 헬스 산업을 전망하였다.
   * 디지털 헬스 분야 전문가 15인(학계 5인, 의료계 5인, 산업계 5인)을 대상으로 델파이 설문조사 실시함

 ○ 그 결과, 전문가들은 세계 산업 전망에 대체로 동의(8.3점/9점만점)하였으나 국내 전망은 세계와 다소 동일하지 않게 움직인다(4.9점/9점만점)고 예측하였다. 이러한 전망의 이유로 국내 법과 제도가 산업을 활성화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는 점 등이 제시되었다.

 ○ 국내 전문가들이 생각하는 국내 디지털 헬스 산업의 성장률(향후 5년간 예상)은 15.3%이며 전문가별로 국내 산업 성장률의 편차(최소 4.0%~최대 50.0%)가 크게 나타나 전문가마다 이견이 있지만, 성장세로 전망하고 있다. 모바일 헬스 분야는 세계 성장률보다 높게 전망되었다.

 ○ 전문가들은 국내 디지털 헬스 산업의 경쟁력을 세계 최고 수준과 비교시 5.4점(9점 만점)으로 중간 수준(100점 만점 환산시 60점)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텔레헬스케어는 4.1점으로 가장 낮다.

 ○ 국내 디지털 헬스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는 건강보험 수가적용 및 등재과정 등 관련 법제도 개선, R&D/임상시험/사업화 연계된 인프라 구축, 의료기기 인허가 등 관련 법제도 개선 등이 제시되었다.


 □ 아울러, 국내 디지털 헬스 산업의 정책 지원 현황은 국가 연구개발(R&D)*중심으로 살펴본 결과를 제시하였다.
   *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 자료에서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상 연구분야(1순위) 중 의료정보/시스템을 디지털 헬스 주요 분야로 간주하고 분석함. 의료정보/시스템은 u-Health 서비스 관련기술, 달리 분류되지 않는 의료정보/시스템, 병원의료정보시스템/설비, 원격/재택의료, 의료정보 표준화, 의료정보 보안, 의학지식표현의 세분류로 구분됨

 ○ 그 결과, 의료정보/시스템 연구비는 총 2,324억원(‘16∼‘18)이며 분야별로는 u-Health 서비스 관련기술 813억원(35%), 병원의료시스템/설비 475억원(20%), 원격/재택의료 168억원(7%), 의료정보 표준화 159억원(7%), 의료정보 보안 89억원(4%), 의학지식표현 26억원(1%)순으로 나타난다.
   * 달리 분류되지 않는 의료정보/시스템은 594억원(25%)임

 ○ 분야별 연구비 성장률은 병원의료시스템/설비 59%, 의료정보 표준화 21%, 의료정보 보안 -58%, 원격/재택의료 -24%로 분야별로 격차가 크게 나타난다. 이는 시스템의 경우 인프라 구축과 정보의 표준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는 구조적인 요인 때문이라는 견해도 있다.

 ○ 전문가들은 의료정보 보안, 의료정보 표준화 분야의 R&D연구비 확대 필요도를 타 분야보다 다소 높게 평가했으며, 국내 디지털 헬스 분야의 R&D사업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R&D로 개발된 기술의 사업화 지원 정책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 끝으로, 진흥원은 본 연구를 통해 국내 디지털 헬스 산업의 정립과 현황 조사를 통한 국내 산업의 규모 및 전망이 산출되어야 하며, 국내 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 지원과 함께 실제 디지털 헬스 분야의 효과(비용절감, 임상효과, 환자 수용성 등)에 대한 평가를 통한 지원도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진흥원은 2019년 12월 보건산업정책연구를 전문적으로 수행할 연구센터를 조직하여 운영하고 있고 본 연구보고서는 2020년에 수행한 연구 결과를 발간한 것이다.


 □ 해당 보고서는 진흥원 홈페이지(www.khidi.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동향과 정보-보건산업정책연구 게시판)


※ 문의 : 진흥원 보건산업정책연구센터 김지은 책임연구원 ☎ 043-713-8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