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내외뉴스

해외뉴스

home > 국내외뉴스> 해외뉴스

글자크기

단기 NO2 노출 사망위험 ↑

단기 NO2 노출 사망위험 ↑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출처,원문,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1-03-30 조회수 811
출처 바이오스펙테이터
원문 http://www.pharms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305982

이산화질소(NO2)에 단기 노출은 전체, 심혈관과 호흡기 사망에 대한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BMJ 24일자 온라인에 게재됐다.

상하이 푸단 대학(Fudan University)의 Xia Meng 연구팀은 22개 저소득부터 고소득 국가/지역까지 398개 도시의 NO2와 전체, 심혈관, 호흡기 사망률 사이의 단기 연관성을 조사했다.

연구팀은 평균적으로 1일(전일) 지연시 NO2 농도의 10㎍/㎥ 증가와 관련해 전체, 심혈관, 호흡기 사망률은 각각 0.46%, 0.37%, 0.47% 증가한 것을 발견했다.

공해물질(공기중력학적 직경≤10 µm 또는 2.5 µm인 입자 물질, 오존, 아황산가스 및 일산화탄소)을 조정한 후, 이러한 연관성은 견고하게 유지되었다.

모두 세 가지 원인에 대해, 종합 농도-반응 곡선은 식별할 수 있는 분계점 없이 거의 직선형이었다.

398개 도시 전체에서, 역실제 제로 수준 이상 NO2 농도로 인한 사망률은 1.23%였다.

연구팀은 “농도-반응 곡선은 식별할 수 있는 기준치 없이 직선형으로 나타나 공공보건 편익 증대를 위해 현행 NO2 공기질 지침을 개정하고 강화해야 하며, 일일평균 NO2 농도에 대한 규제한계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했다”고 적었다.

연구팀은 이런 다지역 연구는 NO2에 대한 단기 노출과 전체, 심혈관 및 호흡기 사망의 위험 증가 사이의 독립적이고 직선형 연관성에 대한 주요 증거를 제공하며, 이는 NO2의 지침과 규제 한계를 강화함으로써 건강 편익이 달성될 것임을 시사한다고 결론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