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home 알림마당 보도자료

글자크기

진흥원, 중소 화장품 해외진출 수요조사 결과 발표

진흥원, 중소 화장품 해외진출 수요조사 결과 발표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보도시작시간,보도시작일,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0-08-13 조회수 10,919

진흥원, 중소 화장품 해외진출 수요조사 결과 발표

- 온라인 중심의 플랫폼을 활용한 시장 확대 및 비대면 사업기회 발굴 필요 -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권덕철, 이하 진흥원)COVID-19 장기화에 따른 업계의 어려움을 파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코로나 19 대응, 중소 화장품 해외진출 지원수요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조사대상: 중소 화장품기업 및 관련 업종

(화장품제조기업, 화장품책임판매업, 화장품유통업)

조사목적: 중소 화장품기업 화장품 수출 관련 애로사항 등 의견수렴 및 대응방안 마련을 위한 수요조사

조사기간: 2020527() ~ 2020619(), 24일간

응답건수: 360개사 중 73개사 응답

 

코로나 19 대응, 중소 화장품 해외진출 지원수요조사 결과

 

 

 

 

 

 

수출관련 사항

(수출국가 및 수출품목) 중국, 미국, 베트남 순으로 기초화장품류와 마스크팩류, 베트남, 중국, 미국 순으로 색조화장품을 가장 많이 수출

(수출상위 품목) 기초화장용 제품(84.9%), 마스크팩(43.3%), 색조화장품 제품(24.7%), 두발용 제품(20.5%)

(수출 희망국가) 미국(65.8%). 중국(61.6%), 유럽(53.4%), 기타국가(37.0%)

* 기타국가: 홍콩, 남미, 싱가포르, 중동, 인도 등

(해외진출 애로사항) 까다로운 인허가 및 인허가비용(76.7%), 바이어 발굴(76.7%), 국가별 상이한 통관절차(39.7%), 진출국 시장정보 부족(·제도 등)(31.5%)

정부지원 사업

(애로사항) 신청절차 및 반복되는 서류 요구(17.8%), 선정기준’(12.3%), 기업부담금 5.5%

(우선지원 사업) 중소 화장품 해외 온라인 마케팅·유통 플랫폼 구축(37.0%), 해외 대형 온라인 유통망 입점 지원(31.5%), 해외진출을 위한 유망품목 테스트 지원 사업(31.5%)

COVID-19 대응

(애로사항) 수출감소에 따른 매출액 감소(48.0%), 해외 바이어와의 미팅 기회 감소( 30.7%), 운송 문제로 인한 유통가격 상승(11.0%), 자금부족(4.1%)

(대응방안) 온라인 판매확대17.8%, 상품개발(코로나 19관련 제품개발), ‘SNS마케팅 강화’ 8.2%, 내수시장 집중’ 8.2%, ‘온라인 및 비대면 미팅 활성화’ 6.8%

 

1. 수출관련 사항

 

중국, 미국, 베트남 순으로 기초화장품류와 마스크팩류를 가장 많이 수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색조화장품은 베트남, 중국, 미국 순으로 가장 많이 수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국가 및 수출품목 현황>

* 중복응답

구분

중국

미국

베트남

러시아

태국

기타국가

기초

화장품류

13.6%

12.1%

12.1%

7.6%

7.6%

47.0%

마스크팩류

12.9%

12.9%

9.7%

4.0%

-

61.3%

색조화장품

16.0%

16.0%

24.0%

4.0%

4.0%

28%

기타제품

15.1%

12.0%

9.1%

3.0%

6.1%

45.5%

기타제품은 헤어제품, 인체세정, 디바이스, 치약, 원료 등

기타국가는 홍콩, 몽골, 스페인, 말레이시아, 캐나다, 불가리아, 호주, 독일, 프랑스, 대만 등

 

수출하는 상위 품목은 기초화장용 제품이 84.9%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마스크팩 43.3%, 색조화장품 제품 24.7%, 두발용 제품 20.5% 순으로 수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 상위품목 현황>

 

*중복응답

기초화장품 제품류

마스크팩

색조화장용 제품류

두발용 제품류

인체 세정용 제품류

기타제품

84.9%

43.3%

24.7%

20.5%

12.3%

23.3%

기타제품에는 치약, 원료, 뷰티디바이스가 포함됨

 

해외진출을 희망하는 국가는 미국(65.8%)이 가장 많았으며, 중국(61.6%), 유럽(53.4%), 기타국가(37.0%) 순으로 나타났으며, 기타국가는 홍콩, 남미, 싱가포르, 중동, 인도 등 기업들이 다양한 국가로의 해외진출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희망 국가>

* 중복응답

미국

중국

유럽

베트남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기타국가

65.8%

61.6%

53.4%

34.2%

24.7%

17.8%

37.0%

 

 

기업들이 해외진출 시 가장 어려운 점으로 까다로운 인허가 및 인허가비용, 바이어 발굴이 각각 76.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국가별 상이한 통관절차(39.7%), 진출국 시장정보 부족(·제도 등)(31.5%) 순으로 조사되었다.

 

<해외 진출 시 애로사항>

*중복응답

까다로운 인허가 및 인허가 비용

바이어 발굴

국가별 상이한 통관절차

진출국에 대한 시장정보

76.7%

76.7%

39.7%

31.5%

 

2. 정부지원 사업

 

기업들이 정부지원 사업지원 시 신청절차 및 반복되는 서류 요구’(17.8%), ‘선정기준’(12.3%), ‘기업부담금’ 5.5% 등이 어려움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기타의견으로 지원기간, 사후관리, 사업지연, 결산과정, 예산부족 등이 있었다.

 

향후 정부에서 우선적으로 필요한 사업에 대해 중소 화장품 해외 온라인 마케팅·유통 플랫폼 구축 지원이 필요하다고 37.0%로 가장 높았고, 해외 대형 온라인 유통망 입점 지원, 해외진출을 위한 유망품목 테스트 지원 사업도 우선적으로 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3. COVID 업계 대응

 

COVID-19로 인하여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수출감소에 따른 매출액 감소’ 49.3%로 가장 많이 차지하였으며, 해외 진출 제한에 따른 해외 바이어와의 미팅 기회 감소’ 31.5%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오프라인 매출의 감소로 인해 운송 문제로 인한 유통가격 상승(11.0%), 자금부족(4.1%), 온라인 확대 비용 부담(1.0%) 업계의 어려움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COVID-19 극복을 위한 업계의 대응방안으로 온라인 판매확대17.8%, 상품개발(코로나 19관련 제품개발), ‘SNS마케팅 강화’ 8.2%, ‘내수시장 집중’ 8.2%, ‘온라인 및 비대면 미팅 활성화’ 6.8% 으로 조사되었다. 기타 대응방안으로 바이어 발굴 주력, 새로운 현지 배송방법 모색, 유통 및 제조품목 변경, 구조조정, 역직구 사업 확대 추진 등 다양한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흥원 김미희 팀장은 이번 수요조사 결과, 중화권, 동남아시아 국가를 중심으로 해외진출을 준비하던 기업들이 이제는 미국, 유럽, 남미, 중동 등 다양한 국가로의 진출을 희망하거나 계획을 하고 있어, 향후 다양한 국가로의 수출확대가 예상되며,

 

수출관련 지원 사업 확대, 해외 바이어 매칭 지원, 국내외 마케팅 지원 등 현실적인 수요맞춤형 해외진출 사업을 지원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한 “COVID-19으로 화장품을 쇼핑하기 위해 외부로 나가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되면서 오프라인 소비가 위축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비대면 중심 소비 채널의 확산으로 온라인을 이용한 제품 구매 고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언텍트(비대면) 현상이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보건산업 수출동향 자료 기준, 코로나 상황에도 불구하고 상반기 화장품 수출은 9.4% 증가, 전년 동기(6) 대비 수출품목 1위는 기초화장품제품류, 상위 수출국은 중국, 미국, 일본, 베트남 등으로 금번 수요조사 결과와 유사한 현황을 보였다.(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산업 수출 동향, 7월호)

 

이러한 업계의 수출동향 및 진출 수요를 적극 반영하여 온라인 중심의 플랫폼을 활용한 시장 확대 및 비대면 사업기회 발굴 등 중소 화장품기업의 해외 진출 및 수출 성과 달성을 위한 맞춤형 지원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