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산업통상자원부

home 자료실 유관기관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러시아 의료기기 시장 동향

러시아 의료기기 시장 동향 : 작성자, 카테고리, 등록일, 조회수, 출처,원문링크,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카테고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등록일 2019-06-25 조회수 4,732
출처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원문링크 http://news.kotra.or.kr/user/globalAllBbs/kotranews/album/781/globalBbsDataAllView.do?dataIdx=175601&column=&search=&searchAreaCd=&searchNationCd=&searchTradeCd=&searchStartDate=&searchEndDate=&search
러시아 의료기기 시장 동향
2019-06-24 이태훈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무역관

- 수입의존도 높은 러시아 의료기기 시장 –

- 러시아 정부, 의료기기 인프라 현대화 추진 -

 

 

 

 상품명 및 HS Code

 

  o 상품명: 의료기기

 

  o HS Code: 9018


 시장규모 및 동향

 

  o 2018년 러시아 의료기기 시장 규모는 약 46억 달러이며, 이 중 수입 비중은 43.9%, 수입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70% 이상으로 수입 의존도와 외국 기업의 비중이 높은 편임. 러시아 정부는 수입 비중을 낮추고 현지 의료기기 인프라를 현대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세우고 있음.

 

  o 특히 영상진단기기와 같은 높은 기술을 요구하는 첨단 의료기기에 대한 수입의존도가 높음. 2015년 러시아 산업통상부는 수입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5개년 계획을 수립합. 이 계획은 2020년 의료기기 수입의존도를 2015년 대비 35%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함.

 

  o 정부에서 2015년 2월 외국산 의료기기 공공조달 참여 제한 규제를 발표함. 심전도기, X선 스캐터, 수술용 바늘 등 100개의 의료기기에 적용되며, EAEU 회원국 중 3개 이상의 기업이 지원하는 경우에 외국기업이 러시아 의료부문 공공조달에 참여할 수 없음.

 

  o 정부에서 2013년에 핵심기술 개발과 첨단 의료기기 개발을 목표로 ‘2013-2020 국가 보건의료산업 육성 프로그램’을 발표함. 프로그램은 2013-2015년 국내 생산 확대 및 보건시스템 조정과 2016-2020 혁신기술 개발의 두 단계로 나뉘어짐.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러시아 의료기기 국가별 수입동향 (HS Code 9018 기준)

(단위: 백만 달러, %)

주: 2018년도 수입액 기준 정렬

자료: GTA (19.06.05)

 

 대한 수입규모 및 동향

 

  o 러시아의 한국산 의료기기(HS Code: 9018) 수입액은 2018년 기준 약 7천만 달러로 수입국 5위를 차지, 전체 수입액(약 18억 달러)의 3.87%를 기록하고 있음.

 

  o 러시아의 한국산 의료기기 수입품목 중 초음파 영상진단기기(50%)와 치과용 기기(11%)가 큰 점유율을 차지함.

 

대한 의료기기 수입 동향

(단위: 천불, %, %)

주: 2018년 수입액 기준 정렬

자료: GTA (19.06.05)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러시아 의료기기 제조업체 경쟁 현황


 유통구조

 

의료기기 유통구조

자료: KOTRA Global Market Report 16-014

 

 관세율 및 규제, 인증 등

 

  o 의료기기(HS Code 9018 기준) EAEU 수입관세는 품목에 따라 0~7%이며, 부가가치세는 20%임.

 

러시아 의료기기 (HS Code 9018 기준) 수입관세

자료: www.alta.ru/tnved/

 

  o 2017년 5월부터 유라시아 경제연합 공통 규제 (EAEU)를 도입했으며, 2020년까지 기존의 러시아 의료기기 등록 시스템과 EAEU 규제가 모두 유효함.

 

  o 제품 등록은 러시아 연방보건부에서 관리하며, 서류가 많고 현지어 공증이 필요하여 1년 정도 소요됨. 러시아 정부에서는 의료기기 인허가 과정 간소화를 추진하고 있음.

 

  o 직접적으로 피부에 접촉하거나 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제품은 지정 의료기관에서 추가로 임상시험을 진행하여 연방소비자권익보호원에서 위생증명서를 발급 받아야 함.

  

 시사점

 

  o 러시아 정부에서 의료기기 개발 프로그램, 보건 의료산업 육성 정책과 의료기기 인허가 절차 간소화를 추진 중이므로 러시아 의료기기 시장이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보임.

 

  o 러시아 의료기기 시장은 기술 장벽이 높은 첨단 의료기기 분야 등에서 수입의존도가 높아 유망한 분야임. 정부에서 수입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노력 중이기 때문에, GE와 Philips 등의 외국 기업과 같이 러시아의 의료기기 제조 업체와 협업하는 방법이 좋을 것으로 생각됨.

 

  o 정부에서 수입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외국 의료기기의 러시아 공공조달 참여 제한 법령을 발표했지만, 몇몇 러시아 공공기관에서 정책을 우회하여 외국 의료기기를 구매함.


  o 러시아 의료기기 유통업체 Royal Medical Trading의 CEO인 Mr. Dmitry는 정부에서 의료 서비스 전산화를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또한 러시아에서 소비자 지출의 증가와 건강 관리에 대한 정부 예산 투자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러시아 보건 의료 서비스 및 의료기기 제조업체의 장기적인 전망이 매우 긍정적'이라고 언급함.



자료: Euromonitor, GTA, https://www.alta.ru/tnved/KOTRA 상트페테르부르크 무역관 자료 종합

공공누리 1유형

해외시장뉴스 기사는 "공공누리 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단 이미지나 표 자료 등 공사가 직접 작성하지 않고 별도 출처가 명기된 외부 자료의 사용에 대해서는 해당 출처의 담당자와 별도 협의한 이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