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공지사항

home > 소식> 공지사항

글자크기

中企, 스마트공장 도입 후 생산성 30%, 고용 3명(4.2%) 증가

中企, 스마트공장 도입 후 생산성 30%, 고용 3명(4.2%) 증가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출처,원문, 첨부파일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05-23 조회수 2,993
출처 중소벤처기업부
원문 https://www.mss.go.kr/site/smba/ex/bbs/View.do?cbIdx=86&bcIdx=1011893&parentSeq=1011893
첨부파일
中企, 스마트공장 도입 후 생산성 30%, 고용 3명(4.2%) 증가

- 중기부, 스마트공장 보급사업 성과분석 결과 발표 -

□ 스마트공장 도입 기업은 공정 개선을 통해 경쟁력이 높아지고, 고용도 평균 3명(4.2%)이 증가하는 등 양질의 일자리 창출
□ 유사 조건 기업과 비교 시에도 매출액․수출액․고용 성과가 더 높고, 동 격차는 기간이 경과할수록 심화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는 ‘스마트공장 보급사업 성과분석’ 결과 발표를 통해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중소기업은 평균적으로 생산성 30% 증가, 품질 43.5% 향상, 원가 15.9% 감소, 납기 준수율 15.5% 증가하는 등 경쟁력이 높아졌다”고 밝혔다.

또한 “매출이 증가(7.7%)하면서 고용도 평균 3명이 증가하였고, 산업재해는 18.3% 감소하는 등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동 조사는 ‘14년부터 ’17년까지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5,003개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중기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향후 스마트공장 정책수립 기초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 스마트공장 보급사업 성과․분석 개요 >
 • 과제명 : 스마트공장 지원사업 성과조사 분석 연구
 • 조사대상 : ‘14~’17년 정부와 민간에서 스마트공장을 보급한 기업 5,003개
 • 조사내용 : 지원 기업 현황 분석, 도입 전․후 성과비교, 심층분석 등
 • 연구기간 및 수행기관 : ‘18.10월~’19.5월 / (주)윕스


특히, 이번 조사는 기존에 수행했던 설문조사 방식에서 벗어나 기업데이터․고용노동부 자료 등 행정 데이터를 적극 활용하고, 스마트공장 미 도입 기업 중 유사 조건을 가진 기업과 비교분석(PSM : Propensity Score Matching)을 실시하여 신뢰도를 높인 것이 특징이다.



1. 스마트공장 도입 전․후 성과 분석

소규모 기업이 공정개선(생산성 향상 등) 및 경영개선(고용․매출 증가율 등) 성과가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개선 효과의 경우 종업원수 10인 미만 기업의 경우 생산성이 39.0% 증가하여 평균(30.0%) 개선효과를 크게 상회했고, 품질․원가․납기 개선효과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액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도 매출액 10억원 미만 기업은 원가가 31.2% 감소하여 평균(15.9%)보다 2배 정도의 개선을 시현하였고, 생산․품질․납기 개선효과도 가장 높았다.



경영개선 효과는 종업원수 10인 미만 기업이 84.9%의 고용증가를 시현하여 가장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였고, 산업재해율 감소 효과도 가장 높았다.

매출액 기준으로도 매출액 10억원 미만 기업은 매출 증가율이 202.3%에 달해 전체 평균 7.7%를 크게 앞질렀고, 고용증가율도 1위(33.1%)를 기록해 개선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 분석결과는 소규모 기업 비중이 높은 식료품 제조업, 목재 제조업 등이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공장 도입 수준별로는 도입 기업의 대부분(78.7%)을 차지하는 Level 1~2(기초) 수준 기업이 생산성 향상 효과가 가장 높게(31.2%) 나타났다.

다만, 품질․원가․납기 개선효과는 Level 4*(중간2) 수준기업이 가장 높았다.
* Level 4 수준 기업은 5,003개 기업 중 약 1%(65개) 수준




2. 스마트공장 도입 여부에 따른 성과 비교

스마트공장 도입을 완료한 기업과 유사 조건의 미 도입 기업에 대한 비교분석(PSM : Propensity Score Matching)을 실시한 결과 스마트공장 도입 기업이 매출액․수출액․고용에서 성과가 더 높았고, 동 격차는 기간이 경과할수록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14~’16년에 완료된 과제 기준 836개 매칭그룹(지원기업 836개, 비지원기업 836개)



중기부 김영태 기술혁신정책관은 “금번 조사결과를 통해 정부 8대 혁신성장 선도사업 중 하나인 스마트공장 보급사업의 높은 성과를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고 하면서

“상대적으로 개선 여지가 많은 소규모 기업이 스마트공장 도입 성과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다는 점을 고려하여 소규모 기업에 대한 스마트공장 저변확대와 함께 고도화된 공장을 구축하는 투트랙(Two-Track) 전략을 펼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하였다.

중기부는 성과가 높은 스마트공장을 조기에 확산하기 위해 올해 5월부터 전국 19개 제조혁신센터에서 지역별 성과보고회를 개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