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지원
보도자료
보도자료
난치병 치료의 희망 줄기세포 치료제
작성자 | 관리자 | ||
---|---|---|---|
작성일 | 2009-10-13 | 조회수 | 1,959 |
난치병 치료의 희망 줄기세포 치료제
- 줄기세포 분야의 특허출원 동향 -
줄기세포는 인체의 어떤 조직으로도 분화할 수 있는 만능성(pluripotency)을 가진 미분화 세포로 장기이식을 대체할 수 있는 획기적인 치료법을 제공할 수 있다.
환자 자신이나 다른 생물체에서 얻은 세포를 분리, 배양, 분화시킨 후 환자에게 이식하여 병든 조직을 대체하고 신체기능을 회복시키는 의학적 방법을 ‘세포 치료 (cell therapy)'라고 한다. 줄기세포는 여러 종류의 세포로 분화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줄기세포를 이용한 세포 치료는 난치성 질환을 치료할 수 새로운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수정란 배아 줄기세포’는 수정란에서 형성되는 배반포를 파괴하여 얻는 것이고, ‘체세포 배아 줄기세포’도 체세포의 핵을 난자에 이식하여 만들어진다. 배아 줄기세포는 인간 복제 등의 윤리적인 문제로 인하여 제한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한편, 출생 후 인체에도 줄기세포가 존재하는데 이것이 ‘성체 줄기세포’이다. ‘성체 줄기세포’는 매우 소량 존재하지만 분리 방법과 배양 방법이 발달함에 따라 치료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 피부세포와 같은 체세포에 자극을 주어 ‘인공 만능 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세포: iPS 세포)’로 역분화시키는 기술이 개발되어 환자 맞춤형 세포로 실용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특허청에 출원된 특허를 통하여 줄기세포의 기술 동향을 살펴본다. 줄기세포와 관련된 특허가 ’90년대 초부터 등장하였으나, 인간의 줄기세포에 대한 특허출원은 ’02년에 최초로 이루어졌으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08년까지 184건의 특허가 출원되었다. 출원인의 국적을 살펴보면, 우리나라가 43%로 가장 많은 출원을 하였으며 미국(13%), 일본(8.7%), 영국(2.7%)의 순으로 출원이 이루어져서 우리나라에서 매우 활발하게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세부기술분야별 출원현황을 조사하였다. 수정란 배아줄기세포(91건)와 성체줄기세포(61건)에 관한 기술이 대부분을 차지(83%)한다. 내국인의 출원은 성체 줄기세포와 인공 만능 줄기세포에 집중되어, 성체줄기세포에 관한 기술은 전체의 62%가 내국인 출원이며 인공 만능 줄기세포와 관련된 출원은 80%가 내국인 출원이다. 특히 성체줄기세포에 관한 기술은 국내 출원인에 의한 특허 출원이 매우 활발하여 내국인이 우위를 보이고 있다.
특허분석에 의하면 줄기세포를 이용한 세포치료제 분야에서 우리나라의 기술력이 세계적인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앞으로 상업화 성공과 특허권에 따른 기술료 수입이 기대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