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발간보고서

home > 자료실> 발간보고서

글자크기

치매 치료제 개발 민관 협력 확대해야

치매 치료제 개발 민관 협력 확대해야 : 작성자, 카테고리, 작성일, 조회수, 원문,출처, 정보 제공
작성자 임이슬 카테고리 전문가 인사이트
작성일 2017-08-24 조회수 2,523
원문
출처

치매 치료제 개발 민관 협력 확대해야

 

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황순욱 제약바이오산업단

 

 

지난 2월 글로벌제약사 머크가 개발 중이던 알츠하이머 신약 '베루베세스테트'의 임상시험이 중단됐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환자 2000명을 대상으로 시험을 했지만 긍정적인 임상효과를 발견할 수 없었다고 한다. 해당 치료제는 빠르면 내년쯤 허가를 받을 것으로 예상했기에 그 실망감은 더욱 컸다. 화이자와 일라이릴리도 허가가 임박했다고 생각한 임상 3상 단계에서 실패한 경험이 있다.
 
치매환자의 약 60~70% 정도는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한 치매이지만 아직까지 근본적인 치료제는 없다. 현재 시판 중인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들은 인지기능을 유지하거나 질환의 진행속도를 늦춰주는 약물이다. 치매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인 부담이 증가하면서 병의 진행을 근원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치료제 개발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알츠하이머 신약개발은 결코 쉽지 않다. 네이처 리뷰 드럭 디스커버리에 따르면 치료제 후보물질을 도출한 후 시장에 진입하기까지의 성공률이 HCV(C형간염 바이러스) 2%, MRSA(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4.6%인 반면 알츠하이머는 0.5%에 그쳤다. 제약산업 평균인 4%를 한참 밑도는 수치다. 2002년에서 2012년 사이 진행된 알츠하이머 치료제 후보물질에 대한 413건의 임상시험 중 최종 허가를 받은 제품이 단 1개에 불과한 것도 이를 입증한다고 하겠다.

다행인 점은 치매도 약물치료와 관리를 통해 예방할 수 있다는 인식이 과거에 비해 점점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또한 정상노화와 치매의 중간단계인 '경도인지장애' 인구가 알츠하이머 환자 수보다 4배 이상 많다는 사실은 조기 검진과 예방의 중요성을 방증한다. 학계에서도 신경손상이 너무 많이 진행돼 치료가 불가능해지는 시점에 이르기 전에 비교적 초기 단계의 환자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방법에 주목하고 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초기 단계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관련 임상시험 가이드라인을 발표한 바 있다. 

국내 제약사들도 알츠하이머 및 치매치료제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천연물신약, 줄기세포치료제 등이 국내·외 임상단계에 진입했으며, 약효 지속시간을 늘리거나 고령환자의 복용 편이를 위한 차별화된 복제약 개발에도 힘쓰고 있다. 치매 관련 예방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 개발에 대한 수요도 높아지고 있다. 

네이처셀·차바이오텍·메디포스트 등 바이오기업들은 줄기세포치료제 개발을 위한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며, 대화제약·일동제약은 천연물신약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다. SK케미칼은 엑셀론 패치 복제약으로는 처음으로 유럽에서 허가를 받았으며 미국 FDA에도 허가를 신청한 상태다. 동국제약은 원천기술을 활용해 약효 지속시간을 1개월로 늘린 치료제의 임상시험을 승인받았다.

전 세계 알츠하이머 환자는 약 4400만 명 이상이고, 치료제 시장규모는 10년 뒤 4배 이상 커질 전망이다. 유례없는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 중인 우리나라의 경우 65세 이상 노인의 약 10%가 치매를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중앙치매센터, 2016) 치매환자 수는 10년 내 1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이 세계에서 치매환자가 가장 빨리 늘어나는 국가가 될 것이라는 통계도 있다. 낮은 성공률에도 불구하고 국내·외 제약 및 바이오업계가 치매치료제 개발을 포기하지 않는 이유다.

주요 선진국 정부는 치매 극복을 위한 연구개발 과정에서 민간업계·연구자와 리스크를 분담하고 혁신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그 중 하나로 지난해 미국에서 제정된 '유레카법'을 꼽을 수 있는데, 연구자가 알츠하이머 과제에서 도전적인 목표를 달성했을 때 상금을 수여하는 방식으로 연구개발을 지원한다. 정부 예산뿐만 아니라 민간 혹은 개인의 기부금으로도 수상기금을 조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공·민간부문의 협력을 확대하고, 연구 역량을 끌어모아 2025년까지 알츠하이머 치료제 개발에 성공한다는 것이 목표다. 

우리 정부도 치매대응 R&D를 포함해 국민복지 증진을 위한 연구예산을 전년 대비 50% 가까이 증액하는 등(877억원 규모) 치매 치료 및 관리를 핵심 국정과제로 꼽고 있다. 치매 국가책임제 시행이 가시화되면서 이번 하반기부터 전국 시·군·구 치매안심센터가 252개로 늘어날 계획이고, 내년부터는 치매 진단검사 비용의 급여화가 추진된다. 장기적으로 치매 검진 및 조기발견 지원, 치료비 본인부담 완화, 치매안심센터 설립, 치매 책임병원 지정 등을 목표로 한다.

우리나라의 고령사회 진입이 올해 안으로 확실시된 현 상황에서 치매는 우리 사회가 함께 감당해야 한다는 인식이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치매국가책임제와 같은 제도적 지원과 함께 치료제 개발을 위한 국내·외 견고한 협력관계 구축, 정부 및 민간의 적극적인 투자가 더 중요해지는 시점이다. 실패의 위험을 감내하며 과감한 투자와 도전을 지속하는 민간의 노력과, 이러한 노력을 인정하고 위험을 분담하려는 정부의 의지가 함께 한다면 치매치료제 개발은 더 이상 불가능한 과제가 아닐 것이다. 국산약으로 치매를 치료할 수 있는 미래가 오길 기대해 본다.

 

* 원문출처 : 디지털타임스 2017-08-24일자 22면 기사(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7082402102251029001)

  •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