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One-stop Service Center for Medical Device Industry

정부/유관기관 공지사항

home 정부지원사업안내 정부/유관기관 공지사항

원격모니터링, 고혈압·당뇨 등 만성질환관리에 효과있어

원격모니터링, 고혈압·당뇨 등 만성질환관리에 효과있어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6-06-01 조회수 5,492
첨부파일

원격모니터링, 고혈압·당뇨 등 만성질환관리에 효과 있어
 

한국보건의료연구원, 국내·외 임상연구 체계적 문헌 고찰 연구 결과 발표
 


□ 한국보건의료연구원(원장 임태환, 이하 NECA)은 2015년 수행한「고혈압·당뇨병 등 원격의료서비스의 임상적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 체계적 문헌고찰이란 의사결정이 필요한 특정 질문에 대해 관련된 일차연구문헌을 체계적인 방법으로 선정·검토하여 종합적인 요약이나 결론을 제시하는 연구방법
 
□ 국내 만성질환 관리가 OECD 평균 이하로 평가되는 가운데, 최근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를 활용한 만성질환 원격의료 서비스가 사회적·정책적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국내외 학계에서도 관련 연구가 다수 보고되고 있다.
 
○ 이에 NECA에서는 원격의료서비스 유형 중 원격으로 만성질환자를 관찰·상담·교육하는 ‘원격모니터링*’의 임상적 효과를 확인하고자 고혈압, 당뇨, 심부전 환자 대상 선행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게 되었다.
* 본 연구에서 ‘원격모니터링’은 만성질환 관리를 목적으로 원격의료 장비 등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환자의 혈압, 혈당 등 생체정보가 의료진에게 전송되고 이에 대한 피드백이 이루어지는 중재법으로 정의함
 
□ 이번 체계적 문헌고찰은 원격모니터링 중재로 무작위배정 비교 임상시험(RCTs)을 시행한 문헌만을 선정하였고, 양적 분석(quantitative analysis)이 가능할 경우 메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불가능한 경우 질적 검토(qualitative review) 방법을 적용하였다. ※ <붙임1> 참조
* 여러 개의 연구결과를 요약하여 종합적인 추론을 이루기 위한 통계적 분석방법
 
○ 최종 선택된 문헌은 총 102편으로 질환별로 고혈압 20편(19.6%), 제2형 당뇨병 44편(43.1%), 심부전 38편(37.3%)이고, 연구국가별로 한국 12편(11.8%), 미국 51편(50%), 기타 국가 39편(38.2%)이었다. ※ <붙임2> 참조
 
○ 메타분석 문헌은 주요 결과지표별로 고혈압(수축기 혈압) 11편, 당뇨병(당화혈색소) 24편, 심부전(전체사망률) 20편이었다.
 
□ 분석결과, 고혈압, 당뇨병, 심부전 환자 모두 원격모니터링 중재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임상적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중재군: 원격모니터링 중재를 받은 환자군, ** 대조군: 원격모니터링 중재를 받지 않은 환자군
 
○ 대조군 대비, 원격모니터링 중재군에서 고혈압 환자는 수축기 혈압이 4.7㎜Hg, 이완기혈압이 1.9㎜Hg이 더 낮고, 당뇨병 환자는 당화혈색소가 0.4%p 가량 더 낮고, 심부전 환자는 전체 사망위험이 18% 더 낮게 나타났다.
 
○ 또한, 원격모니터링 중재군이 대조군보다 당뇨병환자는 당화혈색소 목표치(7% 미만) 달성률이 1.9배 높았고, 고혈압 환자의 목표혈압 달성률은 1.3배 더 높았다.
 
□ 질환별로 중재유형이나 연구설계 특성들을 고려한 하위군 메타분석한 결과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임상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 (고혈압) 피드백이 음성이외 방식으로 이루어진 경우(△5.0㎜Hg), 중재자의 판단에 의해 피드백이 이뤄진 경우(△5.1mmHg) 등에서 원격모니터링 중재군의 수축기혈압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 원격 모니터링의 이완기혈압 감소 효과는 생체정보 전송이 주 1회 이루어진 경우(△4.3mmHg) 등에서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 <붙임 3> 참조
 
○ (당뇨병) 생체정보를 주 1회 전송한 경우(△0.51%p), 매일 또는 실시간 피드백이 이루어진 경우(△0.57%p), 피드백을 음성으로 한 경우(△0.28%p), 생체정보 전송장비가 원격장비인 경우(△0.21%p) 등에서 대조군에 비해 원격 모니터링군의 당화혈색소가 낮게 나타났다. ※ <붙임 4> 참조
 
○ (심부전) 복약모니터링을 제공했던 경우 대조군에 비해 원격 모니터링군의 전체 사망 위험이 36% 가량 더 낮았고, 매일 생체정보(환자의 체중, 혈압, 심박수 등)를 전송한 경우 전체 사망 위험이 21% 정도 더 낮았으며, 원격장비를 통해 생체정보를 전송한 경우 전체 사망 위험이 23% 정도 더 낮게 나타났다. ※ <붙임 5> 참조
 
□ 연구책임자 박동아 연구위원은 “연구결과, 고혈압·당뇨병·심부전 환자 대상 원격 모니터링이 임상적 지표를 개선시킬 수 있는 중재법임을 확인하였다”고 언급하면서
 
“그러나 원격모니터링 중재법은 진료의 대체나 고혈압·당뇨병·심부전의 치료제로서의 기능이 아닌, 대면진료의 보조적 역할에 중점을 두고 본 문헌고찰 결과를 해석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 NECA 임태환 원장은 “국민건강을 위협하는 만성질환 관리방법의 하나로 원격 모니터링의 임상적 효과를 종합 검토한 이번 연구결과가 관련 정책 수립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붙임 1.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 절차
붙임 2. 체계적 문헌고찰 분석 대상 문헌 특성
붙임 3. 고혈압 대상 원격모니터링의 메타분석 주요결과
붙임 4. 제2형 당뇨병 대상 원격모니터링의 메타분석 주요결과
붙임 5. 심부전 대상 원격모니터링의 메타분석 주요결과








※원문을 확인하시려면 아래를 클릭해주시기 바랍니다.
해당홈페이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