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One-stop Service Center for Medical Device Industry

정부/유관기관 공지사항

home 정부지원사업안내 정부/유관기관 공지사항

농어촌 취약지 응급환자를 대도시 거점병원 응급전문의가 원격으로 협진

농어촌 취약지 응급환자를 대도시 거점병원 응급전문의가 원격으로 협진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5-05-07 조회수 3,962


 


제목 농어촌 취약지 응급환자를 대도시 거점병원 응급전문의가 원격으로 협진
등록일 2015-05-07[최종수정일 : 2015-05-07] 조회수 125
담당자 서민수 담당부서 응급의료과

농어촌 취약지 응급환자를 대도시 거점병원 응급전문의가 원격으로 협진

6개 지역 32개 응급실부터 원격협진 시작. 연내 10개 지역 70개 기관으로 확대

응급실간 원격협진 네트워크 사례

경운기 사고를 당한 C씨(남/52세)는 인근 응급실로 이송되어 뇌 CT를 찍었지만, 취약지 응급실 의사는 이비인후과를 전공한 공중보건의사로 뇌 CT 판독경험이 충분하지 않아 뇌출혈 진단이 쉽지 않았다. 원격협진이 도입되면 거점병원 신경외과 전문의에게 원격협진을 의뢰해 환자 CT 영상을 함께 보고 어떠한 처치를 할 것인지 자문받을 수 있게 된다.

보건복지부(장관 문형표)는 대도시 거점병원 전문의의 지식과 경험을 농어촌 취약지 응급환자 진료에 활용할 수 있도록 ‘ 응급의료 취약지 원격협진 네트워크’ 시범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농어촌 취약지에 응급환자가 발생하면 거점병원 전문의를 호출하고, CT 등 영상, 음성, 진료기록의 실시간 공유가 가능한 원격협진시스템을 통해 거점병원 전문의의 자문을 받아 응급환자를 진료하게 된다.

충분한 전문지식을 갖춘 인근 대도시 거점병원 전문의와 환자의 상태를 가장 잘 아는 취약지 응급실 의사가 협력하여 대도시까지 이송되지 않더라도 질 높은 진료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간의 노력으로 농어촌 취약지의 응급의료 인프라는 지속적으로 확충되고 있다. 응급의료기관이 없는 군(郡) 지역은 ‘ 03년 43개 지역에서 ’ 15년 현재 11개 지역까지 줄어들었으며, 취약지 응급의료 지원예산도 ‘ 06년 37억원에서 ’ 15년 294억까지 늘어났다.

그러나 도농간 격차는 여전히 남아있는 상황이며, 모든 농어촌 취약지에 응급의학 전문의와 다양한 진료과 전문의들을 모두 배치하는 것은 재정 투입을 확대하더라도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이다.

< 취약지 기관 의료사고 사례 >

취약지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던 정형외과 전문의인 공보의 A씨는 패혈증이 의심되는 환자에 대해, 원인균 파악을 위한 혈액배양검사와 3세대 항생제 투입을 하지 않고 해열진통제와 1세대 항생제만을 투입하였음. 그 후 환자 상태가 악화되어 서울B병원으로 전원되었으나 패혈증 쇼크로 사망

보건복지부는 도농간 응급의료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대도시 거점병원에 상주하는 전문인력이 원격협진을 통해 취약지 응급실을 지원하는 시범사업을 5월 8일부터 시작한다.

6개 거점병원*, 26개 취약지 응급실 등 총 32개 기관에서 원격협진 시범사업이 시작되며, 연내 10개 거점병원을 비롯한 70개 기관으로 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다.

* 원격협진 시작 거점병원 : 인천길병원, 제주한라병원, 춘천성심병원, 안동병원, 의정부성모병원, 목포한국병원

* 전남대병원과 목포한국병원의 응급실 원격협진은 지역발전위원회의 지역행복생활권 사업으로 선정되어 하반기부터 시작할 예정
(목포한국병원은 인근 3개 지역병원과 함께 5.8 시작하고 하반기 확대)

* 명지병원, 천안단국대병원, 원주세브란스병원은 원격협진 건강보험수가 시범사업이 현재 시행중이며 상반기내 원격협진 시스템 지원예정

응급의료 취약지 원격협진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첫째, CT 등 영상자료, 둘째, 음성과 화상을 통한 의료진 간 협진, 셋째, 진료기록의 실시간 공유가 가능한 원격협진시스템이 제공된다.

전화상으로만 전달받던 환자의 상태를 PACS* 영상, 진료기록, 심전도 모니터 영상 등으로 생생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 PACS : 의료영상 저장·전송 시스템 (Picture Archiving and Communcation System)

스마트폰, 태블릿 등 모바일 기기를 통해서도 협진할 수 있어, 취약지 응급실 의사, 거점병원 응급전문의, 거점병원 후속진료과 전문의가 3자간에 협력하여 진료할 수도 있다.

또한, 응급환자가 이송되는 동안 거점병원에서는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받을 준비를 하여 응급수술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응급상황에서 거점병원과 취약지병원이 신속하게 협업할 수 있도록 상시적인 지역내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작업도 병행될 예정이다.

거점병원에서 취약지병원 공중보건의 등을 대상으로 교육하고, 정기적인 원격 사례관리를 통해 이송되어온 응급환자의 초기 처치 등에 대해 환류(feedback)할 예정이다.

지역내 협력체계가 구축되면 거점병원은 지역내 리더쉽을, 취약지병원은 응급환자를 신속하게 보낼 수 있는 네트워크를 확보할 수 있다.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번 시범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5월 7일(목) 오후 2시 거점병원인 인천 길병원을 방문하여 원격협진 시연 및 시범사업 진행을 점검하고 의료진을 격려할 예정이다.

첨부

 [보도참고자료]_농어촌_취약지_응급환자를_대도시_거점병원_응급전문의가_원격으로_협진.hwp (1 MB )









※ 원문을 확인하시려면 아래를 클릭해주시기 바랍니다.

 
             해당 홈페이지 바로가기


  •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